컬렉션 자료형이란
컬렉션이란 변수 안에 1개 이상의 값을 저장하는 변수를 의미한다.
- list는 [ ]로 구분을 하며, 여러개의 항목을 저장 할 수 있는 가변 자료형이다.
- set은 { }로 구분을 하며, 집합을 나타내는 자료형으로써, 중복이 없고 순서가 정해지지 않아있다.
- tuple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, 불변 자료형이다. 구분은 (( ))으로 한다.
- dict는 리스트 안에 키와 값으로 나눠져 있다. 구분은 { }으로 한다. key : value 형식이다.
각 요소는 쉼표( , )로 구분하며, 만약 값이 문자열 일떄는 " "를 숫자인경우에는 바로 넣으면된다.
리스트
리스트는 여러개의 항목을 순서대로 저장 할 수 있는 가변 자료형이다.
리스트의 특징으로는
- 순서가 있다.
- 가변형이다.
- 중복을 허용한다
- [ ] 로 표현한다.
리스트의 생성 과 예시 :
#리스트의 생성
devices = ["Apple", "Samsung", "Nokia", "Xiaomi"]
#리스트의 요소 접근
print(devices[0])
>> Apple
#리스트의 요소 변경
#2번 자리의 Nokia가 Sony로 변경
devices[2] = "Sony"
print(deviced[2])
>> Sony
#리스트에 요소 추가
#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Oppo가 추가
devices.append("Oppo")
#리스트의 요소 제거
devices.remove("Xiaomi")
#리스트의 길이 확인
print(len(devices))
>> 4
튜플
튜플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, 수정이 불가능한 불변 자료형이다.
튜플의 특징으로는
- 순서가 있다.
- 불변형이다.
- 중복을 허용한다.
- ( )로 표현한다.
튜플의 생성과 예시 :
#튜플 생성
topbrands = ("Samsung", "Apple")
#튜플 요소 접근
print(topbrands[0])
>> Samsung
#튜플 길이 확인
print(len(topbrands))
>> 2
#하나의 요소만 가진 튜플 생성
#하나의 요소만 있더라도 쉼표( , )를 붙여야함
bestbrand = ("Samsung",)
딕셔너리
딕셔너리는 키 - 값이 함께 저장되는 자료형이다.
딕셔너리의 특징은 :
- 순서가 없다.
- 가변형이다.
- 키는 중복이 허용이 안된다.
- 값은 중복이 허용된다.
- 키와 값은 : 로 구분한다.
- ( )로 표현한다
딕셔너리 생성과 예시 :
#딕셔너리 생성
mobile = { "brand" : "Samsung" , "model" : "Galaxy" , "name" : "s20+" }
#딕셔너리 값 접근
print(mobile["model"]
>> Galaxy
#딕셔너리 값 변경
mobile["name"] = "S20 Ultra"
print(mobile)
>> { "brand" : "Samsung" , "model" : "Galaxy" , "name" : "S20 Ultra" }
#e딕셔너리에 새 키-값 추가하기
mobile["cost"] = 1,000
print(mobile)
>> { "brand" : "Samsung" , "model" : "Galaxy" , "name" : "S20 Ultra", "cost" : 1,000 }
#딕셔너리에서 키-값 제거하기
del mobile["cost"]
#딕셔너리에서 키 목록 또는 값 목록 접근
print(mobile.keys())
>> dict_keys(['brand', 'model', 'name'])
print(mobile.values())
>> dict_values(['Samsung', 'Galaxt', 'S20 Ultra'])
셋
셋은 중복되지 않는 요소들의 집합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다.
셋의 특징은:
- 순서가 없다.
- 가변형이다.
-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.
- { }로 표현한다.
셋의 생성과 예시 :
#셋 생성
numbers = {1, 2, 3, 4, 4, 5}
print(numbers)
>> {1, 2, 3, 4, 5}
#셋에 요소 추가
numbers.add(6)
print(numbers)
>> {1, 2, 3, 4, 5, 6}
#셋에서 요소 제거
numbers.remove(3)
print(numbers)
>> {1, 2, 4, 5, 6}
#셋의 집합 연산 (합집합, 교집합 등)
odd = {1, 3, 5, 7}
even = {2, 4, 6, 8}
#합집합
union = odd.union(even)
print(union)
>> {1, 2, 3, 4, 5, 6, 7, 8}
#교집합
intersection = numbers.intersection(odd)
print(intersection)
>> {1, 5}
'용어정리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용어정리 (반복문) (0) | 2024.09.30 |
---|---|
python 용어정리 (연산자) (0) | 2024.09.30 |
python 용어정리 (데이터 타입) (0) | 2024.09.30 |
python 용어정리 (변수와 메모리) (1) | 2024.09.30 |
파이썬 기본 데이터 유형 (숫자형) (0) | 2024.09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