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 타입 변환이란?
데이터 타입 변환이란, 변수에 저장된 값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을 시키는것.
데이터 타입의 변환에는
- 명시적 타입 변환
- 암시적 타입 변환
이 있다.
명시적 타입 변환
명시적 타입 변환이란, 직접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식이다.
주로 int를 사용해 숫자를 정수형으로 바꾸거나 문자열을 int로 변경한다.
int의 예시
#실수를 정수로 변환시키기
pi = 3.14
convert = int(pi)
print(convert)
>> 3
#문자열을 정수로 변환시키기
num = "100"
convert = int(num)
print(convert)
>> 100
float의 예시
#정수를 실수로 변환시키기
num = 100
convert = float(num)
print(convert)
>> 100.0
#문자열을 실수로 변환
pi = "3.14"
convert = float(pi)
print(convert)
>> 3.14
srt의 예시
# 정수를 문자열로 변환
num = 10
convert = str(num)
print(convert)
>> "10"
# 실수를 문자열로 변환
pi = 3.14
convert = str(pi)
print(convert)
>> "3.14"
bool의 예시
# 숫자를 불리언으로 변환
num = 0
boool = bool(num)
print(boool)
>> False
num1 = 1
boool = bool(num1)
print(boool)
>> True
# 빈 문자열과 None은 False, 그 외의 값은 True
empty = ""
boool = bool(empty)
print(boool)
>> False
sayhi = "Hello"
boool = bool(sayhi)
print(boool)
>> True
컬렉션 데이터 타입의 예시
# 문자열을 리스트로 변환
sayhi = "hello"
listt = list(sayhi)
print(listt)
>> ['h', 'e', 'l', 'l', 'o']
# 리스트를 튜플로 변환
list1 = [1, 2, 3]
tupple = tuple(list1)
print(tupple)
>> (1, 2, 3)
# 리스트를 셋으로 변환 (중복 제거)
list1 = [1, 2, 2, 3, 4]
sett = set(list1)
print(sett)
>> {1, 2, 3, 4}
암시적 타입 변환
암시적 타입 변환이란 파이썬이 자동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경우를 뜻한다.
암시적 타입 변환의 예시:
# 정수와 실수의 연산에서 발생하는 암시적 변환
int1 = 5
float1 = 2.0
result = int1 + float1
print(result)
>> 7.0
이렇게 정수와 실수의 합산일 때, int는 정수 밖에 담지를 못하니 만약을 대비해서 result의 타입은 float으로 변경이된다.
주의사항
- 데이터의 변환 시 변환할 데이터 타입이 허용하는 값이어야 변환이 가능하다.
- 실수에서 정수로 변환시 ( float > int ), 소수점 아래는 사라지므로 주의 해야한다.
'용어정리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용어정리 (클래스와 친구들) (0) | 2024.10.07 |
---|---|
python 용어정리 (클래스, 객체 : 객체지향) (6) | 2024.10.07 |
python 용어정리 (python) (0) | 2024.10.07 |
python 용어정리 (패키지) (0) | 2024.10.01 |
python 용어정리 (모듈) (0) | 2024.10.01 |